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아마존
- AWS
- ssh권한
- 8200호대
- 서버
- 철도
- 동큐슈신칸센
- 철도소식
- EC2
- 열차
- linux
- vscode ssh
- Java
- server to server
- 서버간통신
- remote PC
- 자바
- 아마존 서버 배포
- 스프링
- 신칸센
- 서버배포
- 히가시큐슈신칸센
- 일본철도
- WSL
- 스프링부트
- Blockchain
- 기차
- 스프링부트 배포
- tendermint
- 서버 배포
- Today
- Total
목록Blockchain (2)
사진과 컴퓨터

tendermint를 git clone 해오면, 다음과 같은 파일들이 땡겨져 오는데, 우리에게 중요한 파일은 docker-compose.yml파일이다. 여기서 노드를 추가하고, MAKEFILE에서 총 노드 개수를 선언해준다. docker-compose.yml파일을 열면 다음과 같이 노드가 정의되어 있다. 하나의 노드를 더 추가해 주도록 하자. 다음과같이 똑같이 복사해서 붙여놓고, 노드번호와 아이피 주소만 젤 뒷자리를 바꾸어주면된다. 다음은 Makefile에서 노드개수를 정의하는 파트를 바꾸어줘야한다. Makefile에서 다음과 같은 위치를 찾고, 아래와 같이 수정해준다. testnet 뒤를 수정해주었다 검증자노드를 1개로 하고 방금 추가한 노드까지 추가로 4개 해서 총 5개의 노드를 사용한다고 선언해 준..

make localnet-start 명령어로 도커를 통해 텐더민트를 동작시키려고 할때 Error response from daemon: failed to create shim task: OCI runtime create failed: runc create failed: unable to start container process: exec: "/usr/bin/wrapper.sh": permission denied: unknown 다음과 같이 권한 문제로 실행이 종료되는 경우가 있다. 이 경우 텐더민트 디렉토리가 있는 위치기준으로 /networks/local/localnode 위치의 Dockerfile 을 수정해 주는데, 가장 마지막줄에 오류가 난 파일에 권한을 부여해 주는 코드를 넣으면 된다 RUN ["..